엄마표 수학 지도 시 유의할 점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어설프게나마(?) 수학을 전공했다는 그 이유로 내 아이의 수학은 내가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미취학 아동 전에는 구체적 조작물을 통해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수를 접하며 재미있게 수학에 접근했다.
하지만 초등학교에 입학한 큰 아이는 수학은 싫다는 이야기를 자주 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자괴감에 빠지기 시작했다.
아이가 수학을 어려워하지 않았으나 꾸준히 공부습관을 잡아 줘야겠다는 생각에 매일 연산 반쪽, 문제집 1~2장 풀리게 했다.
특히 문제 해결의 길잡이와 같은 사고력 문제집은 아이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더 잃게 만들 뿐이었다. 초심을 잃고 아이보다 내가 먼저 앞서 갔던 것이다.
항상 잊지 말아야 하는 건 공부의 주체는 아이이며, 재미가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 난 그 부분을 놓쳤던 것 같다.
그나마 둘째 아이는 큰 아이 때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구체물로 여러 조작활동을 했다. 수학에 대한 관심도가 다른건지 둘째 아이의 수학에 대한 흥미는 점차 높아져 갔다.
현재 큰 아이 초등학교 시절과 똑같이 매일 연산 반장, 문제집 1~2장을 풀리지만 둘째 아이는 수학을 재미있어하고 즐거워한다. 어려운 문제를 혼자 생각하며 해결하는 그 과정 자체를 즐기는 모습이다.
큰 아이로 인해 낮아진 내 자존감은 둘째 아이로 인해 다시 상승 중이다. 사실 초등 저학년 까지의 수학은 집에서 간단히 엄마표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기초가 튼튼한 아이는 고학년이 되어서도 크게 흔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수학 공부를 하는 이유가 단지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좋은 대학 가기 위한다는 이유를 들으면 마음이 답답하다. 수학은 내 주변을 둘러보고 생각할 여유를 가지고 기본 개념 원리를 스스로 깨우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학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아이들을 재미있는 수학이 아닌 점점 멀어지게 하는 수학, 암기 위주의 수학으로 만들다 보니 수학을 싫어하는 아이들이 점차 많아지는 것 같다.
엄마표 수학 지도의 핵심은 아이가 수학은 우리 실생활 가까이에 있고, 재미있게 느끼도록 지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원칙을 지키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이 문제만이 남아 있다.
피아제의 발달단계에 의하면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 아이들에게 직접 구체적 조작을 통해 경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이들은 경험한 것은 가깝게 느끼고 재미있어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멀게 느끼며 재미없어하기 때문이다.
<엄마표 수학 지도 시 유의할 점>
1. 취학 전 아이의 수학지도는 이렇게
◈ 공부의 주체는 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아이들이 스스로 관심을 가질 때까지 기다리는 게 1순위이다.
아이가 관심을 가지면 아이의 맞는 정보와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이들에게 새로운 무언가를 도전시킬 때에는 항상 결정권은 아이에게 맡겨두는 게 좋다.
또한 아이들이 어떤 질문을 하면 바로 답을 하지 말고 '왜'라는 질문을 통해 아이 스스로 고민하는 시간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교사나 부모는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풀어나갈 수 있는 최소한의 도움만 줘도 충분하다.
◈ 공부든 놀이든 재미가 없으면 아무 의미가 없다. 그건 어른, 아이 상관없이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것 같다. 아이들은 쉴 새 없이 재미를 추구하느라 가만히 앉아 있을 수 없다.
재미있는 책, 재미있는 놀이, 재미있는 친구, 재미있는 이야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재미가 없으면 관심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유아들에게 있어서 수학지도의 핵심은 재미가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
◈ 수학을 놀이처럼 많이 즐기게 해 주어야 한다. 수학 특성상 맞고 틀림이 너무나 명확하다. 취학 전 아동은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있기에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도록 옳고 그름을 구별하기보다는 무조건 칭찬해 주는 것이 좋다. 그래야 수학은 놀이처럼 재미있는 것이라는 인식이 더 많이 쌓이면서 자존감도 관심도 높아질 것이다.
2. 저학년 아이의 수학지도는 이렇게
◈ 1~3학년은 수학의 기초를 세우는 중요한 시간이다. 구체적 조작기인 아이들에게 수학의 원리가 아닌 단편적인 이해만을 요구하지 말아야 한다. 미취학 때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구체물 조작을 통해 수학의 원리를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수학을 잘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보다 약간 쉬운 난이도를 접하면서 성공 경험을 많이 쌓아가는 게 좋다. 이렇게 차근차근 자신감을 기르는 것이다.
◈ 많은 아이들이 취학 전부터 암기식 연산 학습지에 지쳐 있다. 이런 문제 풀이는 원리 이해가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사고는 점점 폭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한 문제라도 다양한 풀이 방법을 생각하면서 식 세우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식을 쓰면서 체계적으로 문제를 이해하고 정리하며 문제 해결 절차를 익혀가는 것이다.
3. 고학년 아이의 수학 지도는 이렇게
◈ 4학년부터는 추상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수준 있는 사고력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시기이다. 교과서나 문제집 외에도 수학 관련 소설 등을 통해 사고의 폭을 넓혀가는 것도 좋다.
고학년이 갈수록 수학을 어렵게 느끼는 이유는 단 하나라 생각한다. 제대로 된 수학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기초가 부족한 것이다.
◈ 앞서 미취학 아동 시기에 단편적인 암기 위주의 수학 학습은 무의미하다 했다. 근본적인 원리 이해가 수반되지 않으면 모래성을 쌓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혹시나 수학을 어려워하는 친구들은 반드시 구체적 조작을 통해 수학적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 게 필요하다.
시중에 많이 나와 있는 값비싼 교구가 아니더라도 가족들끼리 수학 관련 보드게임을 하거나 가정에서 사탕, 쿠키 등을 이용해서 조작하다 보면 연산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 항상 아이들에게 하는 말이 있다.
다른 사람과의 비교가 아니라 나 자신과 비교해봐.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를 비교해 보렴.
부모와 자식간의 신뢰를 쌓아야 하는 시기이다. 주변 아이들과 비교하지 말고 아이 스스로 자신만의 기준을 정하고 그 목표에 달성하면 칭찬을 듬뿍 해주어야 한다.
◈ 전 학년에 걸쳐서 중요한 것은 작은 성공체험을 많이 쌓도록 도와주고 한 문제를 풀더라도 깊이 생각하는 습관을 갖게 하는 것이 좋다.
◈ 수학은 튼튼한 기초 위에 나선 형식으로 상위 개념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면 상위 개념에 대해서 깊이 이해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선행보다는 해당 학년이 심화된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만약 예습을 한다면 한 단원 정도만 앞서가는 게 좋을 듯하다.
'교육&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3학년 과학실험 (feat. 공기가 공간을 차지하는지 알아보는 실험) (5) | 2020.12.15 |
---|---|
초등학교 3학년 수학 분수 이해하기 (0) | 2020.11.25 |
초등학교 3학년 수학 나눗셈 이해하기 (6) | 2020.11.25 |
헷갈려서 틀리기 쉬운 맞춤법 정리 1탄 (0) | 2020.11.22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물 및 유의사항 꼭 점검! (0) | 2020.11.16 |
도형 보드게임 추천 - 쉐입스 업(SHAPES UP) (5) | 2020.11.13 |
전략/연산 보드게임 추천 - 루미큐브 (0) | 2020.11.13 |
추리 보드게임 추천 - 다빈치코드 (0) |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