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 생기는 이유와
정전기 없애는 법
겨울만 되면 옷이며 머리카락이며 여기 저기 정전기가 기승을 부린다. 신랑은 정전기로 인해 사무실에서 근무할 때 민망할 때가 있다고 한다. 또한 큰 아이도 피부가 건조한 아이라 의자에 앉을 때도 정전기가 발생한다며 정전기로 인한 애로사항을 자주 이야기 한다.
세탁할 때 섬유유연제를 이용하고 피부 건조하지 않게 로션을 자주 바르며 예방하는데 그것만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그렇다면 이런 정전기는 왜 생기는 걸까? 과연 내가 실천하고 있는 방법 이외에 정전기를 없애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알아보려 한다.
정전기란?
-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흐르지 않고 그냥 머물러 있는 전기라고 해서 정전기라고 부른다. 우리가 콘센트에 꽂아 쓰는 전기가 흐르는 물이라면, 정전기는 높은 곳에 고여있는 물이다.
정전기가 발생하는 이유
-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정전기가 생기는 이유는 '마찰'때문이다. 물체를 이루는 원자의 주변에는 전자가 돌고 있는데, 원자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자들은 마찰을 통해 다른 물체로 쉽게 이동하기도 한다. 이때 전자를 잃은 쪽은 (+) 전하가, 전자를 얻은 쪽은 (-) 전하가 되어 전위차가 생긴다.
생활하면서 주변의 물체와 접촉하면 마찰이 일어나기 마련인데, 그때마다 우리 몸과 물체가 전자를 주고받으며 몸과 물체를 조금씩 전기가 저장된다. 한도 이상 전기가 쌓였을 때 적절한 유도체에 닿으면 그동안 쌓았던 전기가 순식간에 불꽃을 튀기며 이동한다. 이것이 정전기다.
정전기가 잘 생기는 사람의 특징
-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정전기로 고생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달라 보인다. 또한 습도가 높으면 정전기도 잘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여름보다 겨울에 정전지가 기승을 부리는 것이다.
이 원리에 따라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보다는 적게 흘리는 사람이, 지성피부를 가진 사람보다는 건성피부를 가진 사람에게 정전기가 많이 생긴다.
정전기는 전자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마찰에 의해 잘 생긴다. 마찰 전기가 생길 때 전자를 쉽게 잃는 물체가 있고, 전자를 쉽게 얻는 물체가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종류는 전자를 쉽게 얻고, 모피 종류는 전자를 쉽게 잃는다. 우리 몸은 전자를 잘 잃는 편에 가까우니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같은 합성섬유를 자주 입는 사람은 정전기와 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전기가 잘 발생하는 사람에게 천연섬유(털가죽, 명주, 면)를 입으라는 말에 다 이유가 있다.
정전기 발생과는 별개로 사람마다 정전기를 다르게 느낀다. 보통 남자보다 여자가, 어린이보다 노인이, 뚱뚱한 사람보다 마른 사람이 정전기에 민감하다.
정전기 없애는 법
- 네이버 검색 참고
1. 적정 실내 습도 상태는 50~60%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실내에 가습기나 어항, 화분, 숯 등을 이용하여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키자.
2. 손에 수분을 충분히 심어주는 핸드크림을 자주 바르자.
3. 샤워 후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물기가 약간 남아 있을 때 보습로션을 듬북 발라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한다.
4. 금속소재의 빗보다는 나무 소재의 빗을 사용한다.
5.너무 뜨거운 물보다는 차갑거나 미지근한 물로 머리 감아주고 샴푸 후 트리트먼트를 사용해 모발 표면에 보호막을 만들고 모발 속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해주면 효과적이다.
6. 정전기가 잘 일어나는 문고리에 천연섬유 덮개 만들어 씌운다.
7. 빨래 마지막에 섬유유연제 사용하면 음이온을 띠고 있는 옷이 섬유유연제의 양이온과 합쳐 중성을 띠게 되므로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는다.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려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가전제품은 식초로 적신 천으로 닦아주면 가전제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정전기를 예방할 수 있다.
'소소한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차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하셨나요? (7) | 2021.02.01 |
---|---|
그리팅몰 출석체크 이벤트 끝 0원으로 장보기 (14) | 2021.02.01 |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 배출, 12월 25일부터 시행된 거 아시나요? (19) | 2021.01.23 |
탄산음료 마시고 바로 양치하면 괜찮을까? (10) | 2021.01.17 |
GS편의점 택배, GS포스트박스 예약하고 이용하기 (18) | 2021.01.09 |
CU친구위크!1/4(일)~1/10(일) 행사 (9) | 2021.01.05 |
ZOOM 사용법 - ZOOM 기능 알아보기 (8) | 2021.01.02 |
PC에서 ZOOM 다운로드하는 방법 (12) | 2021.01.01 |